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leetcode
- asyncio
- WSGI
- EC2
- 자바스크립트
- event loop
- elasticsearch
- docker
- 쿠버네티스
- AWS
- AZURE
- Django
- Network
- Deployment
- AZ-104
- dockerfile
- IAC
- K8S
- POD
- Kubernetes
- EKS
- ansible
- Python
- DevOps
- ebs
- AZ-900
- terraform
- Service
- asgi
- FastAPI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kubelet (1)
궁금한게 많은 개발자 노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j0Z4E/btsD4scBV1k/HIkdC1s3GTI1krwCxssl7k/img.png)
쿠버네티스는 크게 Control Plane(Master node)과 Data plane에 속하는 Worker Node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Pod가 생성되는 과정을 통해 전반적인 구조를 살펴보면, kubectl을 통해 Master Node에 존재하는 kube-api server에게 Pod생성 요청을 보내고, api-server는 해당 요청이 타당한지 검증하게 됩니다. 검증 후 etcd에게 node들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게 되고, 전달 받은 정보를 바탕으로 scheduler에게 생성하려는 Pod가 어떤 Workder 노드에 할당되면 좋을 지에 대해 선택을 요청합니다. 그러고 난 후 적절한 Worker Node의 kubelet에 해당 Pod 생성 명령을 내리게 되고, kubelet은 해당 Worker Nod..
DevOps
2024. 1. 23. 23: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