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ebs
- IAC
- AZ-104
- EC2
- EKS
- dockerfile
- ansible
- FastAPI
- AZURE
- leetcode
- asyncio
- Python
- WSGI
- Kubernetes
- AZ-900
- Deployment
- K8S
- docker
- asgi
- DevOps
- Service
- elasticsearch
- 쿠버네티스
- terraform
- 자바스크립트
- event loop
- POD
- Django
- AWS
- Network
- Today
- Total
목록AZURE (7)
궁금한게 많은 개발자 노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GElUL/btsLC7sFUK9/umL8LGgwtbNo8fUmCGz0BK/img.png)
오늘은 Azure에서 구축된 인프라의 일반적인 네트워크 트래픽 전달 과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기존에는 AWS의 인프라, 네트워크 트래픽에 대해 많이 다뤘었는데 요즘은 멀티 클라우드 CSP환경 구축에도 관심이 많아져, Azure에 대해서도 상세히 공부해보고자 합니다. AWS에서의 클라이언트로부터 EKS(Elastic Kubernetes Service)에 존재하는 Pod에 트래픽이 전달되기까지의 과정은 크게 Route53 -> NLB(L4) -> ALB(L7) -> Ingress(EKS) -> Service(EKS) -> Pod(EKS)로 표현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이에 대응되는 Azure의 컴포넌트로는 Azure DNS -> Azure Load Balancer(L4) -> Azure Appli..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6A9gC/btsKtOAkw8y/btmQfUEDCoVhA7m1xoKJbK/img.png)
많은 분들이 이미 잘 알고 계시겠지만, AWS(Amazon Web Services)와 Azure(Microsoft Azure)는 세계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두 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입니다. 각각의 서비스는 인프라, 애플리케이션 개발, 데이터 관리, AI 등 다양한 영역에서 기업과 개발자들에게 필수적인 도구를 제공합니다. 두 플랫폼은 공통된 서비스들을 제공하면서도 고유한 특성과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AWS는 Amazon Web Service로 아마존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플랫폼으로 2006년 최초 출시 이후 클라우드 컴퓨팅의 선두주자로 자리 잡았으며, 현재 업계 최고 수준의 자동화, 보안 및 확장성을 갖춘 클라우드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시장 점유율 약 32%)마이크로소프트에서 개발한 Azure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