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IAC
- Role
- 자바스크립트
- asyncio
- cpu
- Python
- K8S
- asgi
- IAM
- elasticsearch
- leetcode
- Deployment
- Django
- Network
- AZURE
- AZ-900
- Service
- EC2
- terraform
- ansible
- ebs
- AWS
- Kubernetes
- docker
- RBAC
- FastAPI
- DevOps
- kernel
- POD
- AZ-104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2025/06/05 (1)
궁금한게 많은 개발자 노트

쿠버네티스 네트워크 모델은 잘 알다시피 아래 3가지 요구사항을 충족합니다.클러스터의 모든 파드는 고유한 IP를 가진다.파드는 NAT없이 노드 상의 모든 파드와 통신할 수 있다.노드 상의 에이전트(ex. kubelet)는 해당 노드의 모든 파드와 통신할 수 있다.이러한 네트워크 모델의 요구사항을 구현한 것이 CNI Plugin이며, 그 중 Cilium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cilium은 daemonset으로 각 노드마다 cilium agent가 동작하며, agent로 각 노드의 네트워크 설정을 담당하며 쿠버네티스로부터 파드의 시작/중지와 같은 이벤트를 수신하고, 이를 ebpf바이트코드로 컴파일하여 커널에 적재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그러므로, cilium agent가 정상 동작해야 파드에 존재하는 파드의..
DevOps
2025. 6. 5. 1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