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Role
- Service
- ansible
- AZ-104
- ebs
- POD
- AWS
- Python
- EC2
- 자바스크립트
- asyncio
- FastAPI
- asgi
- Network
- docker
- cpu
- Django
- AZURE
- elasticsearch
- RBAC
- AZ-900
- IAM
- IAC
- kernel
- Deployment
- Kubernetes
- leetcode
- K8S
- terraform
- DevOps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2025/05/12 (1)
궁금한게 많은 개발자 노트

TLS(Transport Layer Security)란 넷스케이프가 개발한 SSL(Secure Socket Layer)이라는 암호화 프로토콜에서 발전한 것으로, 인터넷에서 데이트를 암호화하여 안전하게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HTTP, SMTP, FTP등 다양한 프로토콜 위에서 보안 계층으로 작동합니다. TLS의 주요 목적은 암호화를 통해 탈취 및 변조 방지, 데이터의 무결성 검증, 서버 또는 클라이언트의 신원 확인입니다. 주로 사용되는 예로는 HTTP + TLS를 통한 HTTPS통신입니다. TLS를 구성하는 핵심 요소로는 암호화 알고리즘, 키 교환 알고리즘, 해시 알고리즘, 디지털 인증서 4가지로 구성됩니다.암호화 알고리즘 : 실제 데이터를 암호화하는데 사용되며, TLS핸드쉐이킹에서는 비대칭키,..
Back End
2025. 5. 12. 13: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