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terraform
- 자바스크립트
- POD
- EKS
- ansible
- YAML
- asyncio
- leetcode
- 쿠버네티스
- Kubernetes
- ebs
- docker
- event loop
- elasticsearch
- Django
- github
- intervals
- EC2
- AWS
- DevOps
- IAM
- asgi
- Deployment
- IAC
- K8S
- dockerfile
- Service
- Python
- FastAPI
- WSGI
- Today
- Total
궁금한게 많은 개발자 노트
[ leetcode ] 207. Course Schedule 본문
이 문제는 주어진 numCourses만큼의 과목들을 모두 수강할 수 있는 지를 판단하는 문제입니다.
numCourses가 주어진다면 과목은 0부터 numCourses-1까지 존재하며, prerequisites가 주어지는데 크기가 2인 배열의
집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0]으로 표현되는 prerequisite은 1과목을 수강하기 위해서는 0과목을 먼저 수강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문제를 분석해보면, [1,0], [0,1]처럼 cycle이 생기는 경우를 판단하는 문제이고 cycle이 생기지 않는다면 true를 반환합니다.
cycle이 생기는 것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우선, 각 과목과 선수 과목이 있으면 해당 과목들을 표기하는 adjacent vector가 필요하고, 미리 들어야 하는 과목에 해당하는 것의 차수를 counting하여 BFS방식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1. 먼저 선수 과목 조건을 순회하면서 과목과 선수과목을 연결하고, 선수과목에 해당하는 과목은 count를 올려주며 해당 과목의 count가 0이되면 cycle이 없다는 의미이므로 두 가지 자료구조를 준비합니다.
2. count가 0인 과목들을 queue에 먼저 넣고, 하나씩 빼면서 뺀 해당 과목의 선수과목을 순회하며 count를 1씩 낮추고 0이면 queue에 넣는 방식으로 진행합니다.
3. 그렇게 되어서 queue에서 뺀 과목들을 answer vector에 하나씩 넣고, 마지막에 전체 answer vector크기와 numCourses를 비교하여 같으면 cycle이 없고 모두 수강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include <vector>
#include <queue>
class Solution {
public:
bool canFinish(int numCourses, vector<vector<int>>& prerequisites) {
vector<int> course;
vector<int> adjacent[numCourses];
vector<int> indegree(numCourses, 0);
for (auto prerequisite : prerequisites) {
adjacent[prerequisite[0]].push_back(prerequisite[1]);
indegree[prerequisite[1]]++;
}
queue<int> non_prerequisites_course;
for (int i = 0; i < numCourses; i++) {
if (!indegree[i]) non_prerequisites_course.push(i);
}
while (!non_prerequisites_course.empty()) {
int taken_course = non_prerequisites_course.front();
course.push_back(taken_course);
non_prerequisites_course.pop();
for (auto adj : adjacent[taken_course]) {
indegree[adj]--;
if (!indegree[adj]) non_prerequisites_course.push(adj);
}
}
return course.size() == numCourses;
}
};
비슷한 문제로 cycle을 만들지 않는 node를 찾는 문제: https://leetcode.com/problems/course-schedule/
'Algorithm' 카테고리의 다른 글
[ leetcode ] 1218. Longest Arithmetic Subsequence of Given Difference (0) | 2023.07.14 |
---|---|
[ leetcode ] 198. House Robber (0) | 2023.07.14 |
[ leetcode ] 209. Minimum Size Subarray Sum (0) | 2023.07.07 |
[ leetcode ] 1493. Longest Subarray of 1's After Deleting One Element (0) | 2023.07.07 |
[ leetcode ] 23. Merge k Sorted Lists (0) | 2023.07.07 |